다들 주식은 한 번만 매수하시고 호가창을 계속 보고 계신 건 아니잖아요?
떨어진 주식 물타거나 오른 주식 불을 타는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주식 물타기 계산기를 통해 우리가 어떤 종목을 매수해서 주식의 가격, 매수 주가, 매수 수수료, 목표 수익률 등을 입력했을 때
어느 정도의 수익이 나올지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.
주식 물타기
- 나의 평단가 아래에서 매수하기
- 색깔이 진한 파란물에 물을 더 넣으면 색깔이 희석이 되듯 평단가를 낮추기 위해 저가에서 추가로 매수하는것입니다.
먼저 물타기에 대한 개념을 설명드리자면, 나는 주식을 구매한 회사의 미래를 보고 주식을 구매하였으나 단기적인 하락 흐름이 보일 때
추가로 주식을 매수하여 평균 단가를 낮추고 주식 가격이 상승했을 때 더 많은 이익을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.
하지만 자본금이 더 들어가는 만큼 추가 하락 시 하락폭이 커서 손실 또한 커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이런 물타기를 계산할 때 주식 물타기 계산기를 사용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.
물타기를 하길때는 원칙을 정하는것이 좋습니다.
- 과거를 보고 미래를 100% 예측할 순 없지만 그래도 꾸준히 우상향하는 종목인가?
- 누가 뭐라해도 미래가치가 있는 종목인가?
- 충분히 종목에 관하여 공부가 되어있는가?
- 매도 시점을 내가 확실하게 정해놓았는가?
등 본인만의 원칙을 정하고 원칙에 맞는 종목만 물타기를 하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요즘은 주식 평단가 및 물타기를 계산하기위해 증권어플에서도 제공하고 아예 어플로 물타기를 위한 어플이 많이 나와있습니다.
그런데 처음엔 광고가 없이 사용할 수 있다가 언젠가 부터 광고가 나오면서 사용하기에 상당히 불편합니다.
물타기 및 평단가 계산은 정말 간단합니다.
" 총 매입금액 / 총수량 ".
총 매입한 금액에 총 수량으로 나눠주게 되면 물타기 이후의 평단가를 알 수 있게 됩니다. 대신 증권사의 매매 수수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이때 주의할 점은 평단가 계산아니까 총 단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매입한 단가의 합이 아닌 단가에 수량을 곱한 매입금액의 합으로 계산합니다.
용어가 복잡해서 별것아니지만 굉장히 복잡하게 느껴집니다.
그래서 조금 더 쉽게 계산하시라고 아래 엑셀표를 첨부해드립니다. 자유롭게 편집해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.
'취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추석 기차표 예매 (SRT) | 예매일 | 예매방법 (2) | 2023.08.29 |
---|---|
2023년 추석 기차표 예매 | 예매일 | 예매방법 (KTX) (1) | 2023.08.20 |
티머니GO 혜택| 따릉이 | 고속버스, 시외버스 예매 | 공항버스 예매 이용방법 (0) | 2023.08.13 |
일본 장판 다다미 - 써 본 사람들이 말하는 실제 후기 " 생각과 많이 달라요...." (2) | 2023.08.07 |
쿠팡 파트너스 가입 방법 (7) | 2023.07.23 |